Blockchain/Solidity

    Solidity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시작하며 이전 글에서 간단하게 솔리디티 코드가 어떻게 작성되는지를 확인해보았고 이번 글부터 자료형부터 차근차근 나가보려한다. 문법스타일은 c, c++, javascript와 비슷한데 조금 특이한 자료형들도 있어서 한번 알아보자. 자료형에 대해 // SPDX-License-Identifier: GPL-3.0 pragma solidity >=0.7.0 string) public name; // mapping(python에서 딕셔너리와 같음) } 위에 value 타입과 reference 타입을 분리해서 자료형들을 적어놨다. 주석에 다 적어놨지만 몇가지만 더 말하면 1. address는 지갑 주소를 담는 20바이트 크기의 자료형이다. 이 변수에 송금자나 수신자의 지갑 주소를 넣어서 사용할 수 있다. 2. byt..

    Solidity에 대해 간단한 코드로 알아보기(GPL과 MIT)

    시작하며 지난 글에서 솔리디티란 무엇이고 스마트컨트랙트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오늘은 솔리디티로 코딩을 직접해보면서 어떤 특징이 있는지 간단하게 알아보자. 일단 코드부터 // SPDX-License-Identifier: GPL-3.0 pragma solidity >=0.7.0 string) public name; function addName(address key, string memory value) public{ name[key] = value; } function getName(address key) public view returns(string memory){ return name[key]; } function deleteName(address key) public{ delet..

    간단하게 알아보는 Solidity와 Smart Contract

    이번 글은 다른 참고자료를 보지 않고 알고있는 내용을 주저리주저리 쓰기 때문에 조금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Solidity는 이더리움 상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라고 알고 있으면 된다. 그렇다면 스마트 컨트랙트가 뭔지 간단하게 알아보자. Smart Contract 스마트 컨트랙트는 계약서에 써있는 내용을 코드적으로 수행한다고 보면된다. 무슨 말이냐면, 간단하게 A와 B와 C가 D에게 생일 선물로 각각 10,000원씩 모아서 준다고 가정해보자. 스마트컨트랙트는 조건이 충족되면 수행되는 코드이기 때문에 코드로 "if A,B,C 모두 만원씩 넣었으면 -> D에게 3만원 전송" 과 같이 특정 조건이 달성되면 자동으로 수행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것을 왜 코드로써 구현해야할까? ..